작성일 : 12-04-25 20:33
특수하게 읽는 일본어 한자 숙어 / 当て字
|
|
작성자 : 관리자
레 벨 : 10
위 치 : 우리집
 조회 : 20,112
|
当て字(당-자, あてじ)란 漢字의 본래 뜻과 관계없이,
그 음(音)이나 훈(訓)을 빌려서 어떤 말을 표기하는 漢字 熟語(じゅくご)를 말한다.
한자 |
일본음 |
한자음 |
의 미 |
明日 |
あす |
명일 |
내일, 앞날 |
小豆 |
あずき |
소두 |
팥 |
海女 |
あま |
해녀 |
해녀 |
硫黄 |
いおう |
유황 |
유황 |
意気地 |
いくじ |
의기지 |
고집, 패기, 기개 |
一言居士 |
いちげんこじ |
일언거사 |
무슨 일에나 말참견하는 사람 |
田舍 |
いなか |
전사 |
시골, 촌, 고향 |
息吹 |
いぶき |
식취 |
숨결 |
海原 |
うなばら |
해원 |
넓은바다 |
乳母 |
うば |
유모 |
유모 |
浮気 |
うわき |
부기 |
바람기, 변덕스러움 |
笑顔 |
えがお |
소안 |
웃는 얼굴 |
お母さん |
おかあさん |
모-- |
어머니 |
叔父/伯父 |
おじ |
숙부/백부 |
숙부, 백부 |
お父さん |
おとうさん |
부-- |
아버지 |
大人 |
おとな |
대인 |
어른, 성인, 의젓함 |
乙女 |
おとめ |
을려 |
소녀, 처녀 |
叔母/伯母 |
おば |
숙모/숙부 |
숙모, 백모 |
お巡りさん |
おまわりさん |
순-- |
경찰관 |
お神酒 |
おみき |
신주 |
신전에 바치는 술 |
母屋/母家 |
おもや |
모옥/모가 |
본점, 안채, 몸채 |
神樂 |
かぐら |
신락 |
신께 바치는 음악, 카부키의 반주음악 |
河岸 |
かし |
하안 |
강가, 어시장 |
風邪 |
かぜ |
풍사 |
감기 |
蚊帳 |
かや |
문장 |
모기장 |
為替 |
かわせ |
위체 |
환 |
河原/川原 |
かわら |
하원/천원 |
(강가의)모래밭, 자갈밭 |
昨日 |
きのう |
작일 |
어제 |
今日 |
きょう |
금일 |
오늘 |
果物 |
くだもの |
과물 |
과일, 과실 |
玄人 |
くろうと |
현인 |
전문가, 프로 |
今朝 |
けさ |
금조 |
오늘 아침 |
景色 |
けしき |
경색 |
풍경, 경치 |
心地 |
ここち |
심지 |
기분, 심정, 느낌 |
今年 |
ことし |
금년 |
금년, 올해 |
早乙女 |
さおとめ |
조을녀 |
(모내기 하는) 처녀, 소녀 |
雑魚 |
ざこ |
잡어 |
잡어, (비유적으로) 송사리 |
桟敷 |
さじき |
잔부 |
(지면보다 높은) 관람석 |
差し支える |
さしつかえる |
차-지- |
지장이 있다 |
五月晴れ |
さつきばれ |
오월청- |
장마철 사이의 맑은 날씨 |
早苗 |
さなえ |
조묘 |
볏모, 음력 5월의 딴 이름 |
五月雨 |
さみだれ |
오월우 |
음력오월의 장마 |
時雨 |
しぐれ |
시우 |
(늦가을의) 오다 말다하는 비 |
竹刀 |
しない |
죽도 |
죽도 |
芝生 |
しばふ |
지생 |
잔디밭 |
清水 |
しみず |
청수 |
맑은 물 |
三味線 |
しゃみせん |
삼미선 |
일본 고유의 삼현악기 |
砂利 |
じゃり |
사리 |
자갈, (비유적으로) 꼬마 |
数珠 |
じゅず |
수주 |
염주 |
上手 |
じょうず |
상수 |
능숙함, 잘함 |
白髮 |
しらが |
백발 |
백발, 흰머리 |
素人 |
しろうと |
소인 |
초보자, 풋나기, 미숙함 |
師走 |
しわ(は)す |
사주 |
섣달 |
数奇屋 |
すきや |
수기옥 |
다실 |
相撲 |
すもう |
상박 |
씨름 |
草履 |
ぞうり |
초리 |
일본식 버선 |
山車 |
だし |
산차 |
수레 |
太刀 |
たち |
태도 |
도검류, 큰칼 |
立ち退く |
たちのく |
립-퇴- |
떠나다, 물러나다 |
七夕 |
たなばた |
칠석 |
7월 칠석, 직녀성 |
足袋 |
たび |
족대 |
일본버선 |
稚児 |
ちご |
치아 |
축제때의 어린이, 사동 |
一日 |
ついたち |
일일 |
초하루, 1일 |
築山 |
つきやま |
축산 |
석가산(石假山) |
梅雨 |
つゆ |
매우 |
장마, 장마철 |
凸凹 |
でこぼこ |
철요 |
요철, 울통불퉁함 |
手伝う |
てつたう |
수전- |
돕다, 겹쳐지다 |
伝馬船 |
てんません |
전마선 |
거룻배 |
投網 |
とあみ |
투망 |
투망 |
十重二十重 |
とえはたえ |
십중이십중 |
겹겹, 이중삼중 |
読経 |
どきょう |
독경 |
독경 |
時計 |
とけい |
시계 |
시계 |
友達 |
ともだち |
우달 |
친구, 벗, 동무 |
仲人 |
なこうど |
중인 |
중매인 |
名殘 |
なごり |
명잔 |
자취, 흔, 여운, 이별 |
雪崩 |
なだれ |
설붕 |
눈사태 |
兄さん |
にいさん |
형-- |
형님, 오빠, 젊은이, 형씨 |
姉さん |
ねえさん |
매-- |
언니 |
野良 |
のら |
야량 |
들, 논밭 |
祝詞 |
のりと |
축사 |
축문, 축 |
博士 |
はかせ |
박사 |
박사, 박식한 사람 |
二十(歲) |
はたち |
이십(세) |
이십, 스무살 |
二十日 |
はつか |
이십일 |
이십일, 스무날 |
波止場 |
はとば |
파지장 |
부두, 선창 |
一人 |
ひとり |
일인 |
한사람 , 외동, 혼자,독신 |
日和 |
ひより |
일화 |
날씨, 맑게 갠 날씨, 형편 |
二人 |
ふたり |
이인 |
두사람 |
二日 |
ふつか |
이일 |
2일, 초이튿날, 이틀 |
吹雪 |
ふぶき |
취설 |
눈보라 |
下手 |
へた |
하수 |
서투른(사람), 잘못함 |
部屋 |
へや |
부옥 |
방 (궁중의) 내당 |
迷子 |
まいご |
미자 |
미아, 길잃은 아이 |
真っ赤 |
まっか |
진-적 |
샛빨간 |
真っ青 |
まっさお |
진-청 |
샛파란 |
土産 |
みやげ |
토산 |
토산물, 선물 |
息子 |
むすこ |
식자 |
아들, 자식 |
眼鏡 |
めがね |
안경 |
안경, 감별안, 감정 |
猛者 |
もさ |
맹자 |
용감한 사람 |
紅葉 |
もみじ |
홍엽 |
단풍 |
木綿 |
もめん |
목면 |
목화, 솜, 무명, 면직물 |
最寄り |
もより |
최기- |
인근, 근처 |
八百長 |
やおちょう |
팔백장 |
(미리짜고하는) 엉터리 승부 |
八百屋 |
やおや |
팔백옥 |
채소가게, 만물박사 |
大和 |
やまと |
대화 |
일본의 옛 이름 |
浴衣 |
ゆかた |
욕의 |
목욕후 입는 무명 홑옷 |
行方 |
ゆくえ |
행방 |
행방, 목적지, 장래 |
寄席 |
よせ |
기석 |
대중적 연예장, 만담을 들려주는 흥행장 |
若人 |
わこうど |
약인 |
젊은이, 청년 |
|
|